dcsimg

피티에르게잡이쥐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피티에르게잡이쥐(Ichthyomys pittier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준수생설치류이다.[2] 베네수엘라의 토착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강과 습지이다.[1] 핵형2n=92, FNa=98이다. 이전에는 알려진 포유류 중에서 염색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간주되었지만,[3] 붉은비스카차쥐 또는 붉은비스카차쥐(Tympanoctomys barrerae)의 염색체수가 4x=2n=102라는 사실이 발견되었다.[4]

각주

  1. Ichthyomys pittier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2.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2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Schmid, M.; Fernández-Badillo, A.; Feichtinger, W.; Steinlein, C.; Roman, J. I. (1988). “On the highest chromosome number in mammals”. 《Cytogenetic and Genome Research》 49 (4): 305–8. doi:10.1159/000132683. PMID 3073914.
  4. Contreras LC, Torres-Mura JC, Spotorno AE (1990). “The largest known chromosome number for a mammal, in a South American desert rodent”. 《Experientia》 46 (5): 506–508. doi:10.1007/BF01954248. PMID 2347403.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피티에르게잡이쥐: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피티에르게잡이쥐(Ichthyomys pittieri)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준수생설치류이다. 베네수엘라의 토착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강과 습지이다. 핵형2n=92, FNa=98이다. 이전에는 알려진 포유류 중에서 염색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간주되었지만, 붉은비스카차쥐 또는 붉은비스카차쥐(Tympanoctomys barrerae)의 염색체수가 4x=2n=102라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