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프르제발스키말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프르제발스키말(영어: Przewalski's horse, 학명: Equus ferus przewalskii)은 의 야생 아종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야생화된 야생마 개체군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남아 있는 야생마 아종이다.

주로 몽골중국초원지대에 서식하였으며, 한때 수가 흔한 동물이었다. 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수가 줄어들어 야생상태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 동물원에서 번식을 추진하여 일부를 야생으로 돌려 보냈다. 하지만 화석으로 보면 만주와 한반도까지 서식하였으며 지금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문을 듣고 탐험에 나선 러시아의 군인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1879년에 발견하였다. ‘프르제발스키말’이란 이름은 그의 이름인 프르제발스키(Przewalski)에서 비롯되었다.

사람의 손에 길든 적이 없는 순수한 야생마는 아니고, 약 5천500년 전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축 말(보타이 말)들이 재야생화된 것으로 보인다.[2] 그러나 현대의 가축 말은 모두 흑해 북부의 얌나야 문화에서 가축화한 말의 후예이므로 이들과는 다른 계통에 속한다.[3]

각주

  1. Equus ferus ssp. przewalsk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1. 2012년 6월 24일에 확인함.
  2. 최병국 (2018년 2월 24일). "지구상에 진짜 야생마는 없다…수백년 전 이미 멸종한 듯". 《연합뉴스》. 2018년 2월 24일에 확인함.
  3. Librado, Pablo; Khan, Naveed; Fages, Antoine; Kusliy, Mariya A.; Suchan, Tomasz; Tonasso-Calvière, Laure; Schiavinato, Stéphanie; Alioglu, Duha; Fromentier, Aurore (2021년 10월).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horses from the Western Eurasian steppes”. 《Nature》 (영어) 598 (7882): 634–640. doi:10.1038/s41586-021-04018-9. ISSN 1476-4687.
 title=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

프르제발스키말: Brief Summary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프르제발스키말(영어: Przewalski's horse, 학명: Equus ferus przewalskii)은 의 야생 아종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야생화된 야생마 개체군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남아 있는 야생마 아종이다.

주로 몽골중국초원지대에 서식하였으며, 한때 수가 흔한 동물이었다. 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수가 줄어들어 야생상태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 동물원에서 번식을 추진하여 일부를 야생으로 돌려 보냈다. 하지만 화석으로 보면 만주와 한반도까지 서식하였으며 지금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문을 듣고 탐험에 나선 러시아의 군인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1879년에 발견하였다. ‘프르제발스키말’이란 이름은 그의 이름인 프르제발스키(Przewalski)에서 비롯되었다.

사람의 손에 길든 적이 없는 순수한 야생마는 아니고, 약 5천500년 전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축 말(보타이 말)들이 재야생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의 가축 말은 모두 흑해 북부의 얌나야 문화에서 가축화한 말의 후예이므로 이들과는 다른 계통에 속한다.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