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비파나무 ( Korean )

provided by wikipedia 한국어 위키백과

비파나무(枇杷, 학명: Eriobotrya japonica)는 장미과의 늘푸른 넓은잎나무이다.

키는 10 미터에 이르며, 중국 남서부가 원산이다. 과일나무로서는 드물게 가을에 꽃이 피며 늦겨울이나 초봄까지 열매가 익는다. 꽃은 흰색이며 크기는 2 센티미터 가량이다. 열매는 노란색이나 귤색으로 길고 둥글며 크기는 3~5 센티미터 가량이다.

어원

비파나무는 중국에선 노귤(蘆橘)로 불렸다. 비파의 영어 단어 Loquat은 盧橘을 광둥어로 음차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1] 이후 열매와 잎의 생김새가 악기인 비파를 닮았다고 해서 비파(枇杷)라는 이름이 붙었다.

분포

양쯔강 남쪽의 모든 지역에서 생산되며[2], 중국 남서부 후베이성, 쓰촨성이 원산지이다.[3]

1477년 조선 세종의 명으로 편찬된 《의방유취》 104권에 위암(반위)에 대한 처방으로 비파잎이 등장한다.[4] 그외에도 조선후기 최한기가 1830년경 저술한 농업서 《농정회요》, 《농정서》에서도 비파를 다루고 있다.[5]

일본에는 고대에 반입되었다고 추정된다.[6] 주로 혼슈의 관동지방·도카이 지방의 해안, 이시카와현 이서의 동해 쪽으로 시코쿠, 규슈 북부에 자연 분포한다.[7]인도 등에도 퍼져 비파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법이 생겨났다. 중국계 이민자가 하와이에 반입한 것 외에 일본에서 이스라엘브라질로 퍼졌다. 터키레바논,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 스페인, 프랑스 남부, 아프리카 북부 등에서도 재배된다.

국내 산지

전라남도 목포는 1982년 비파나무를 시목으로 삼았다.[8] 목포시가 비파나무를 보호하거나 육성하려는 노력은 없었던 데다가[9] 목포의 비파나무는 외래종이기까지 하여 2000년 4월에는 환경부로부터 싱징종 재지정 권고를 받았다.[10]

아열대 과일로 국내에서는 완도가 2010년부터 하우스 재배를 시작했으며, 2022년 기준 연간 130톤 정도의 비파를 생산한다.[11] 그 외에도 남해[12], 거제도[13] 등지에서도 노지에서 재배한다.

갤러리

각주

  1. https://en.wiktionary.org/wiki/loquat#English
  2. 중국 약초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2022년 6월 21일 확인
  3. 약이 되는 열대과일 - 비파, 푸른나무, 박종철 교수 저, 2013년 2월 18일
  4. 현악기 비파를 닮은 비파나무, 월간 암, 고정혁 기자
  5. 해제로 보는 조선시대 생물자원 4 (PDF),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 1월, 2022년 6월 21일 확인
  6. 川原勝征 2015, 122쪽.
  7. 山﨑誠子 2019, 72쪽.
  8. 목포소개> 목포시상징> 시화/시목/시조, 2022년 6월 21일 확인
  9. 목포서 사라지면 한반도서 멸종되는 왕자귀나무, 목포시민신문, 2021년 2월 24일, 김영준 기자, 2022년 6월 21일 확인
  10. 완도 비파 수확 한창, 연합뉴스, 2022년 4월 20일, 조근영 기자
  11. 남해군, 귀농귀촌인 비파재배 체험 열어, 경남연합일보, 2020년 6월 23일
  12. 거제 '황금비파' 본격 출하, 경남일보, 2019년 6월 18일, 김종환 기자
license
cc-by-sa-3.0
copyright
Wikipedia 작가 및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