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채벌레목(Thysanoptera)은 작고 홀쭉한 먼지털이(총채) 모양을 한 날개를 가진 곤충의 목이다. 처음 기술된 총채벌레목 종은 1744년 드 기어(Charles De Geer)가 기술한 피사푸스속(Physapus)이며, 1758년 린네가 총채벌레속(Thrips)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836년 할리데이(Alexander Henry Haliday)가 생물 목으로 승격하면서 총채벌레목(Thysanoptera)라는 이름을 붙였다. 멸종된 총채벌레 중에서 가장 빠른 것은 페름기 시대의 종(Permothrips longipennis Martynov, 193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백악기 전기가 되면서 총채벌레류는 더 풍부해졌다.[1] 이들 총채벌레의 선조는 현존하는 민총채벌레과를 가장 많이 닮았으며, 총채벌레목의 기저 분류군으로 추정하고 있다.[2]
2006년부터 인정되고 있는 총채벌레목의 하위 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이다.[4]
신시류 망시상목 무시귀뚜라미붙이목 메뚜기목총채벌레목(Thysanoptera)은 작고 홀쭉한 먼지털이(총채) 모양을 한 날개를 가진 곤충의 목이다. 처음 기술된 총채벌레목 종은 1744년 드 기어(Charles De Geer)가 기술한 피사푸스속(Physapus)이며, 1758년 린네가 총채벌레속(Thrips)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836년 할리데이(Alexander Henry Haliday)가 생물 목으로 승격하면서 총채벌레목(Thysanoptera)라는 이름을 붙였다. 멸종된 총채벌레 중에서 가장 빠른 것은 페름기 시대의 종(Permothrips longipennis Martynov, 193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백악기 전기가 되면서 총채벌레류는 더 풍부해졌다. 이들 총채벌레의 선조는 현존하는 민총채벌레과를 가장 많이 닮았으며, 총채벌레목의 기저 분류군으로 추정하고 있다.